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 축구에 있다는 “공한증" 한국 공포증이죠. <br><br>요새는 “공혼증”. <br><br>“결혼이 공포”란 말이 유행이랍니다. <br><br>결혼이 두려우니 아이도 안 낳겠죠. <br><br>작년엔 인구 대국, 전 세계 1위 자리도 인도에 뺏겼습니다. <br> <br>뭐가 두려운 걸까. 중국 젊은이들에게 들어봤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가다, 베이징 이윤상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중국 베이징의 한 공원. <br><br>개인 신상 정보가 가득 담긴 서류가 바닥에 깔려있습니다. <br><br>한 서류에는 30대 의사 딸을 둔 부모가 키 175cm 이상에 나쁜 습관이 없는 사윗감을 찾고 있다고 적혀있습니다. <br><br>공원에는 중년의 어른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. <br><br>자녀의 결혼을 위해 직접 맞선 장소를 찾은 부모들입니다.<br> <br>결혼에 관심이 없는 자녀들을 대신해 부모들이 중국식 맞선 시장으로 불리는 '상친회' 에 모인 겁니다.<br><br>[상친회 참석 부모] <br>"우리 애들은 모두 30대예요. (결혼이 급한가요?) 그렇죠. 서둘러야죠. 어떻게 안 급해요?“ <br> <br>최근까지 원아 모집을 했던 중국 후난성의 한 유치원은 현재 불이 꺼진 채 폐건물이 됐습니다. <br><br>최근 문을 닫은 유치원만 중국 전역에서 5610곳에 이릅니다.<br><br>산부인과도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. <br><br>모두 중국 청년들의 결혼 기피 풍조가 낳은 현상입니다. <br><br>중국의 최근 혼인 건수는 683만 건, 출생률은 6.39%로 역대 최저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.<br><br>[캉이 / 국가통계국 국장 (17일)] <br>"인구 자연 증가율은 -1.48% 입니다." <br> <br>경제적 부담 등으로 "결혼이 두렵다"는 뜻의 '공혼증' 이라는 말까지 유행할 정도입니다.<br><br>[대학생 A] <br>"저는 결혼하지 않을 것 같아요, 비혼주의를 더 선호해요." <br> <br>[대학생 B] <br>"예전엔 결혼이 공동 생활과 더 나은 삶을 위한 것이었는데, 이제는 스스로 실현할 수 있어요." <br> <br>[직장인] <br>"비혼주의는 많은 젊은이들이 선택한 생활 방식이죠. 저도 비혼주의자 입니다."// <br> <br>인구 감소 위기에 놓인 중국 정부는 혼인율과 출산율을 올리기 위해 세제, 복지 혜택을 주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><br>광둥성 등 일부 지방에선 농촌 지역 노총각의 결혼을 성사시키면 중매자에게 최대 19만 원의 보상금을 주기로 했고, 후난성에선 둘째, 셋째 낳기를 독려하는 전화까지 돌리고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젊은이들의 마음을 돌리기는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최근 시안시에서 "결혼과 출산으로 중국의 혈통을 잇고 부흥시키는데 동참하라"는 문구를 냈는데, 과도한 결혼 강요라며 오히려 빈축을 샀습니다,<br> <br>[중국 여성] <br>"애를 더 낳을 수 없어요. 오히려 해만 될 뿐이에요. 국가야 미안하다!" <br> <br>오는 3월, 중국 정부의 운영 방침을 정하는 정치 행사인 양회에서도 결혼과 출산 문제가 화두가 될 전망입니다.<br>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